한국어
세종 한국어 2 3과. 음식
끝이 없는 공부
2023. 2. 25. 02:54
반응형
어휘와 표현 | 문법 | |
대화 1 | 음식 | -(으)ㄹ래요 |
대화 2 | 맛 | 무슨 |
[어휘와 표현 1] 음식
불고기 | 비빔밥 | 설렁탕 | 삼계탕 | 갈비 |
김치찌개 | 된장찌개 | 냉면 | 김밥 | 라면 |
[문법 1] -(으)ㄹ래요 (-을래1, -을래2) / 종결어미
'-(으)ㄹ래요'는 동사 뒤에 붙어서 말하는 사람의 의향을 표현하거나 듣는 사람의 의향을 물을 때 사용한다.
동사 어간 끝음절의 받침 ㅇ | -을래 | 입을래요, 먹을래요, 앉을래요, 살래요 | 'ㄹ'받침인 경우 'ㄹ'이 탈락하고 '-ㄹ래'가 사용된다. |
동사 어간 끝음절의 받침 x | -ㄹ래 | 갈래요, 마실래요, 공부할래요 | |
불규칙 | 걷- → 걸을래요 줍- → 주울래요 짓- → 지을래요 |
+ 제약
: 구어에서 많이 쓰이는 비격식체의 말이기 때문에 나이가 많거나 지위가 높은 사람을 상대로 사용할 수 없다.
+ 유사 문법 ('-(으)ㄹ까요'는 세종 한국어 1 9과에서 제시)
-(으)ㄹ래요 | -(으)ㄹ까요 |
(의향을 물을 때 사용할 경우) 주어가 1인칭일 때 사용 x | 주어가 3인칭일 때 사용 x ※ 주어를 3인칭으로 사용한다면 제안이 아닌 추측의 의미이기 때문에 지금의 문법 X |
(말하는 사람의 의향을 표현할 경우) 평서문의 종결형으로도 사용 가능 예) 제가 저녁에 전화할래요. |
의문문의 종결형으로만 사용 예) 제가 저녁에 전화할까요. (x) |
[어휘와 표현 2] 맛
맛있다 | 맛없다 | 맵다 | 짜다 |
싱겁다 | 달다 | 쓰다 | 시다 |
[문법 2] 무슨
'무슨'은 명사 앞에 쓰여 어떤 종류인지를 물어볼 때 사용한다.
[읽기 지문]
하나식당을 소개합니다.
여러분, 하나식당을 알아요? 하나식당은 세종학당 앞에 있어요.
하나식당은 음식이 정말 맛있어요. 설렁탕도 맛있고 냉면도 맛있어요.
그리고 비빔밥도 별로 안 맵고 좋아요. 반찬도 많이 줘요. 여러분도 가 보세요.
[쓰기 과제]
여러분이 자주 가는 식당이 있어요? 앞의 글처럼 그 식당을 소개하는 글을 써 보세요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