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어

세종 한국어 2 13과. 기분과 감정

끝이 없는 공부 2023. 2. 26. 06:00
반응형

세종 한국어 2 13과. 기분과 감정 단원 도입
출처 : 세종 한국어 2 e-Book

  어휘와 표현 문법
대화 1 감정 -(으)ㄹ 때
대화 2 기분 전환 -(으)러 가다

 

[어휘와 표현 1] 감정

기분이 좋다 기분이 나쁘다 기쁘다 슬프다
행복하다 외롭다 화가나다  

 

[문법 1] -(으)ㄹ 때

'-(으)ㄹ 때'는 동사, 형용사, '명사+이다' 뒤에 붙어서 어떤 일이 계속되는 동안이나 시간의 의미를 나타낸다.

동사, 형용사 어간
끝음절 모음 받침 o
-을 때 작을 때, 웃을 때, 먹을 때, 앉을 때, 놀 때, 만들 때 'ㄹ'받침일 경우 '놀 때'처럼 'ㄹ' 탈락 후 '-ㄹ 때' 사용
동사, 형용사 어간
끝음절 모음 받침 x
-ㄹ 때 잘 때, 슬플 때, 클 때, 비쌀 때  
명사 끝음절 모음
받침 o, x
방학 때, 식사 때, 시험 때  
불규칙 걷- → 걸을 때
춥- →추울때
짓- →지을때
이렇- → 이럴 때
   

+ 부정문

: '-지 않을 때', '안 -을 때'로 쓴다. '안 -을 때'는 주로 구어에서 사용한다.

  예) 저는 기분이 좋지 않을 때 매운 음식을 먹어요. 저는 기분이 안 좋을 때 매운 음식을 먹어요.

 

+ 명사와 결합할 때 일부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와만 결합한다. '주말, 요일, 주, 오전' 등의 명사와는 결합하지 않는다. 이들 명사는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'에'와 결합

 예) 3시 때 만나요. (x) 3시에 만나요. (ㅇ)

[어휘와 표현 2] 기분 전환

기분 전환을 하다 수다를 떨다 바람을 쐬다
공연을 보다 맛있는 것을 먹다 노래방에 가다

 

[문법 2] -(으)러 가다 (-으러) / 연결어미

'(으)러 가다'는 동사 뒤에 붙어서 어떤 장소에 가는 목적을 나타낸다.

동사 어간
끝음절 모음 받침 o
-으러 가다 먹으러 가다, 읽으러 가다, 찾으러 가다, 앉으러 가다, 만들러 가다, 살러 가다 'ㄹ'받침일 경우 '살러 가다'처럼 'ㄹ' 탈락 후 '-러 가다' 사용
동사 어간
끝음절 모음 받침 x
-러 가다 자러 가다, 사러 가다, 쓰러 가다, 배우러 가다  
불규칙 듣- → 들으러 가다
돕- → 도우러 가다
짓- → 지으러 가다
   

 + 제약

: 앞에 '가다, 오다, 다니다' 등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를 사용할 수 없다.

 예) 저는 밖에 나가러 갔어요. (x)

: 앞 절과 뒤 절의 주어가 같아야 하며, 뒤 절의 주어는 흔히 생략 가능

 예) 철수 씨가 숙제를 하러 영희 씨가 도서관에 갔어요. (x)

       철수 씨가 숙제를 하러 (철수 씨가) 도서관에 갔어요. (ㅇ)

 

[읽기 지문]

제목 : 치엔이에요.

선생님, 안녕하세요? 치엔이에요.

선생님은 어떻게 지내고 계세요? 저는 한국에서 잘 지내고 있어요.

학교생활도 잘하고 한국말도 많이 늘었어요.

처음에는 좀 힘들었어요. 혼자 살고 친구도 없어서 많이 외로웠어요.

그렇지만 요즘에는 축구 모임에도 나가고 한국 친구도 많이 사귀어서

아주 즐거워요. 선생님, 또 연락드릴게요.

안녕히 계세요.

 

[쓰기 과제]

여러분은 요즘 어떻게 지내요? 기분은 어때요? 여러분의 요즘 생활과 기분에 대해서 한국어 선생님에게 편지를 써 보세요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