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어휘와 표현 | 문법 | |
대화 1 | 전화 | -아/어 주다 |
대화 2 | 통화 표현 | -지요 |
[어휘와 표현 1] 전화
전화를 하다/걸다 | 전화를 받다 | 전화를 끊다 |
문자 메시지를 보내다 | 음성 메시지를 남기다 |
[문법 1] -아/어 주다 (-어 주다) / 표현
'-아/어 주다'는 동사 뒤에 붙어서 다른 사람을 위해 어떤 일을 함을 나타낸다.
동사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'ㅏ, ㅗ' |
-아 주다 | 찾아 주다, 만나 주다, 가 주다, 봐 주다, 와 주다 |
동사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'ㅏ, ㅗ'가 아닌 경우 |
-어 주다 | 먹어 주다, 열어 주다 |
'-하다'가 붙은 동사 어간 |
-여 주다 | 전화해 주다, 축하해 주다 |
불규칙 | 듣- → 들어 주다 줍- → 주워 주다 붓- → 부어 주다 부르- → 불러 주다 |
+ 부정문
: '-어 주지 않다, 안 -어 주다'로 쓰는데, '안 -어 주다'는 주로 구어에서 사용한다.
예) 노래를 불러 주지 않았다. (ㅇ)
노래를 안 불러 줬다. (ㅇ)
[어휘와 표현 2] 통화 표현
여보세요. | ○○ 씨 좀 바꿔 주세요. |
잠깐만 기다리세요. | 통화 중입니다. |
잘못 걸었습니다. | 실례지만 어디세요? |
안 계신데요. | 나중에 다시 하겠습니다. |
[문법 2] -지요
'-지요'는 동사, 형용사, '명사+이다' 뒤에 붙어서 알고 있는 것을 확인해 물을 때 사용한다.
[읽기 지문]
제목 : 수진이에요.
타완 씨, 저 수진이에요.
요즘 무슨 일 있어요? 제가 많이 전화 했어요. 그런데 전화를 안 받아서
문자 메시지도 보냈어요. 친구들도 타완 씨한테 전화를 많이 했어요.
우리 모두 타완 씨를 걱정해요. 전화 좀 해 주세요.
[쓰기 과제]
여러분은 누구하고 자주 전화를 해요? 또 누구하고 자주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아요? 여러분의 전화 사용에 대한 글을 써 보세요.
반응형
'한국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세종 한국어 2 8과. 가족 (0) | 2023.02.25 |
---|---|
세종 한국어 2 7과. 외모 (0) | 2023.02.25 |
세종 한국어 2 5과. 길 찾기 (4) | 2023.02.25 |
세종 한국어 2 4과. 교통 (0) | 2023.02.25 |
세종 한국어 2 3과. 음식 (0) | 2023.02.2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