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어휘와 표현 | 문법 | |
대화 1 | 가족 | 의 |
대화 2 | 존대 표현 | -(으)시- |
[어휘와 표현 1] 가족
할아버지 | 할머니 | 아버지 | 어머니 |
언니/누나 | 오빠/형 | 동생 |
[문법 1] 의 (의) / 조사
'의'는 명사에 붙어서 앞 명사의 소유임을 나타낸다.
명사 끝음절의 받침 ㅇ, x | 의 | 할아버지의, 동생의, 꽃의 |
+ '의'의 발음 :명사 뒤의 '의'는 [에]로 발음할 수 있다.
+ '나', '저', '너'에 '의'가 붙을 경우 줄여서 '내', '제', '네'로도 쓸 수 있다.
+ 유사 문법
의 | 에 |
명사에 '의'가 붙어 주로 관형어 구실, 뒤에 오는 명사 수식 예) 기분 좋은 날의 데이트 (ㅇ) |
명사에 '에'가 붙어 주로 부사어 구실, 뒤에 오는 서술어 수식 예) 기분 좋은 날에 데이트를 했다. (ㅇ) |
[어휘와 표현 2] 존대 표현
계시다 | 드시다 | 주무시다 |
말씀하시다 | 돌아가시다 | 편찮으시다 |
[문법 2] -(으)시- (-으시) / 선어말어미
'-(으)시-'는 동사, 형용사, '명사+이다'의 뒤에 붙어서 그 문장의 주어를 높여줄 때 사용한다.
동사 및 형용사 어간의 끝음절 받침 ㅇ |
-으시- | 읽으시다, 많으시다, 만드시다 | 'ㄹ'받침일 경우 'ㄹ' 탈락 후 '-시' 사용 |
동사 및 형용사 어간의 끝음절 받침 x |
-시- | 가시다, 보시다, 예쁘시다 | |
이다, 아니다 | -시- | 선생님이시다, 아니시다 |
+ '주다'
: 말하는 대상을 높이는 경우에는 '주시다'를 사용하고, 받는 대상을 높이는 경우에는 '드리다'를 사용한다.
[읽기 지문]
저는 아버지, 어머니하고 같이 삽니다. 아버지와 어머니는 두 분 다 회사에 다니셔서 바쁘십니다. 그리고 저는 형이 있습니다. 형은 결혼을 해서 우리와 같이 안 삽니다. 형의 가족은 주말에 자주 우리 집에 옵니다. 형은 예쁜 딸이 있습니다. 아주 귀엽고 똑똑합니다.
[쓰기 과제]
여러분의 가족을 소개하는 글을 써 보세요.
반응형
'한국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세종 한국어 2 10과. 건강 (3) | 2023.02.25 |
---|---|
세종 한국어 2 9과. 여행 (0) | 2023.02.25 |
세종 한국어 2 7과. 외모 (0) | 2023.02.25 |
세종 한국어 2 6과. 전화 (2) | 2023.02.25 |
세종 한국어 2 5과. 길 찾기 (4) | 2023.02.2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