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어휘와 표현 | 문법 | |
대화 1 | 고유어 수 | -ㅂ니다/습니다, -ㅂ니까/습니까 |
대화 2 | 단위 명사 | 하고 |
[문법 1] -ㅂ니다/습니다, -ㅂ니까/습니까 (-습니다, -습니까) / 종결어미
'-ㅂ니다/습니다, -ㅂ니까/습니까'는 동사, 형용사 뒤에 붙어서 서술이나 물음을 나타낸다. 격식적이고 공손한 느낌을 주는 표현이다.
동사 및 형용사 어간 끝음절의 받침 ㅇ |
-습니다 | 먹습니다, 읽습니다 | |
동사 및 형용사 어간 끝음절의 받침 x |
-ㅂ니다 | 갑니다, 옵니다, 삽니다 | 'ㄹ'받침으로 끝날 때는 'ㄹ' 탈락 |
이다, 아니다 | -ㅂ니다 | 책입니다, 학생입니다, 가수입니다/가숩니다 | '이다' 앞의 명사에 받침이 없으면 주로 '명사+-ㅂ니다'로 사용(격식적인 문어에서는 사용 x) |
[문법 2] 하고 (하고 1) / 조사
'하고'는 명사 뒤에 붙어서 그 명사와 다른 명사를 같은 자격으로 나열할 때 쓰인다.
명사 끝음절의 받침 ㅇ, x | 하고 | 책하고, 사과하고, |
+ 제약
: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. 그때는 '그리고'를 사용
[읽기 지문]
저는 가게에 갑니다. 빵을 여섯 개 삽니다. 우유는 네 병 삽니다. 사과하고 오렌지를 삽니다. 사과 다섯 개하고 오렌지 네 개를 삽니다.
[쓰기 과제]
친구 세 명이 집에 와요. 여러분은 무엇을 사요? 얼마나 사요? 써 보세요.
반응형
'한국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세종 한국어 1 7과. 날씨 (0) | 2023.02.25 |
---|---|
세종한국어 1 6과. 어제 일과 (4) | 2023.02.24 |
세종 한국어 1 4과. 물건 사기 1 (0) | 2023.02.24 |
세종 한국어 1 3과. 위치 (0) | 2023.02.24 |
세종 한국어 1 2과. 일상생활 (0) | 2023.02.24 |
댓글